차량을 운행하신다면 반드시 납부하셔야 할 자동차세 납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매년 1월 말까지 1년 치를 미리 납부하는 연납을 활용하신다면 자동차세 공제 및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여건이 되신다면 본 제도를 적극 활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세 연납제도란?
우선 연납이란 제도가 생소하실 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자동차세는 기본적으로 6월과 12월에 마치 후불제처럼 1년에 2번을 나누어 자동차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그런데 연납이라는 제도를 통해 매년 1월 당해 1년 치를 한 번에 미리 납부를 하면 자동차세를 일정 금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자동차세 1년 치를 미리 납부를 하고 그 해가 지나기 전에 차량을 처분하는 경우는 어떻게 하실지 궁금하실 텐데요, 그럴 경우에는 관할 구청 자동차세팀에 유선으로 연락하여 차량 처분에 대한 소명을 하면 선납한 금액에 대한 일할계산을 통해 남은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할인 금액은?
필자의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2,400cc 승용차량 기준으로 당초세액 567,330원에서 공제세액 36,340원을 뺀 공제 후세액: 530,990원을 최종 납부하였습니다.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로 납부한다고 고려하였을 때 36,340원 할인이면 연납을 안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공식적으로 안내된 공제율은 2023년 기준으로 7%이며 자세한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납부 방법은?
1) 매년 1월 초중순 경에 자동차 등록증에 기입된 주소지로 납부서가 발송됩니다.
※납부서가 없어도 본인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조회 후 납부 가능합니다.
2) 연납 납부를 원할 경우 아래 기록된 6가지 납부 방법 중에 편한 방법으로 납부를 합니다.
필자의 경우 인터넷지로를 통해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로 매년 납부를 하고 있습니다. 직접 납부를 진행하며 인터넷지로를 통한 납부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① 인터넷지로 홈페이지 접속 및 로그인
https://www.giro.or.kr/index.giro
https://www.giro.or.kr/index.giro
www.giro.or.kr
② 왼쪽 상단 '지방세' 클릭
③ '주민등록번호' 또는 '전자납부번호'로 조회
④ 조회된 건에 대해 '상세 보기'를 클릭하여 납부 진행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내용
아래와 같이 현재 신용카드사별 무이자 할부 혜택을 진행 중이며, 주요 카드사 대부분 2~3개월 완전 무이자 혜택을 제공해 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이상의 기간은 부분 무이자 혜택임으로 기간 설정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자동차세 연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연납을 통한 세액공제 기간은 오늘 2023년 1월 31일까지이니 아직 납부를 안 하신 분들께서는 잊지 말고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세금 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간 무이자 차용증 작성방법과 확정일자 받은 실제 후기 (0) | 2023.10.15 |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하는 법 2023년도 (0) | 2023.01.19 |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등록 범위 뜻 (0) | 2023.01.10 |
연말정산 2022년 변경사항 달라지는 점 (0) | 2022.12.14 |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절세방법 알아보기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