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분양 아파트 입주를 준비하면서 부모님으로부터 큰돈을 빌리기로 하였습니다. 사실 살면서 이렇게 큰돈을 빌리는 경험이 처음이었기 때문에 차용증이라는 양식이 있다는 것도 처음 알게 되었는데요, 관련해서 알아보니 아무런 대책 없이 덜컥 큰돈을 계좌 이체를 받았을 때는 엄청난 증여세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실제 가족 간 무이자 차용증을 작성하고 확정일자까지 받은 찐 후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차용증 양식은 어떤 걸 써야 할까요?
사실 정부에서 제공하거나 인증하는 차용증의 양식은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직접 필수적인 사항을 기재하여 차용증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거나 구글링을 해서 본인에게 맞는 양식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셔도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저 또한 인터넷을 찾아 마음에 드는 양식을 사용하였는데요, 확정일자 받는데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차용증에 들어가야 하는 필수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인적사항: 빌려주는 사람과 빌리는 사람의 정보
2) 금액사항: 원금과 이자율, 원금 또는 이자의 지급일, 지급받을 계좌정보
3) 날짜사항: 차용일(빌린 날)과 변제일(갚을 날)
4) 기타 사항: 별도 협의한 상환일자 또는 미상환 시 처리방법 등
5) 서명날인: 각각의 서명이나 인감도장
적당한 양식을 찾아보길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박스를 클릭하세요.
🔎 차용증 양식 다운로드: Google 검색
www.google.com
차용증에 기재되는 차용일(빌린 날)과 실제 은행계좌 이체일은 같아야 할까?
부모님으로부터 계좌 이체를 받기 전 여러 블로그 등을 통해 정보를 알아본 결과, "완전하게 같은 일자일 필요는 없다."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중에 생길 불상사를 대비하여 저는 계좌이체일과 차용증 상의 차용일을 같게 진행하였습니다.
확정일자는 어디서 받으면 될까?
차용증의 확정일자는 당연히 인터넷으로는 받을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작성한 문서를 지참하여 가까운 등기소로 방문을 하면 되는데요, 저의 경우는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김포등기소>로 찾아갔습니다.
주차는 등기소 건물 앞에 개방형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점심시간에 가까운 시간이라 그랬는지 차가 만차여서 결국 주변 주택가 골목에 주차를 하고 걸어서 등기소로 들어갔습니다.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김포등기소 : 네이버
블로그리뷰 21
m.place.naver.com

확정일자는 어떻게 받으면 될까?
준비물은 작성된 차용증 2부만 가져가면 됩니다. 수수료 비용은 한 장당 600원인데, 현금만 된다고 블로그에서 보았는데 신용카드결제도 가능하였습니다. 그래서 총비용은 1,200원입니다.
등기소에 들어가면 <확정일자>라고 팻말이 적혀 있는 창구에 가서 확정일자를 받으러 왔다 하면 직원 분이 차용증을 건네받아 2장의 차용증에 각각 도장을 찍어주십니다.
처음 작성하는 공문서 같은 양식이라 살짝 긴장했는데, 문서 내용은 보지 않고 바로 찍어주시니 괜히 거절이 될까 걱정은 안 해도 됩니다.
아래가 확정일자까지 받은 차용증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보면 수수료 인지와 확정일자 도장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차용증 받은 이후 현재까지는 어떤 상황들이 생겼을까요?
저는 차용증에 부모님께 원금 상환의 조건으로 "매월 말일 정해진 금액 이상으로 원금을 상환하며, 10년 내 모두 상환하겠다"는 조건으로 차용증을 작성하였습니다. 그래서 매월 말일 차용증에 기재된 은행계좌로 꼬박꼬박 계좌이체를 진행 중입니다. 처음에는 소심한 마음에 당장이라도 세무서에서 전화가 오면 어쩌나 걱정을 하였는데, 지금 3달가량 지난 현시점까지는 아무 일 없이 잘 흘러가고 있습니다. 물론 앞으로도 원금상환을 위한 계좌이체 역시 꾸준히 해갈 예정입니다.
이상 가족 간 차용증 작성 방법과 실제 후기를 남겨드렸습니다. 다소 귀찮을 수도 있는 절차이기는 하나 괜한 증여세를 물어 생각지도 않았던 지출이 생기지 않도록 이와 같이 차용증 작성을 잊지 말고 꼭 진행하셨으면 합니다.

'세금 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연납 할인 납부방법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 (0) | 2023.01.31 |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하는 법 2023년도 (0) | 2023.01.19 |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등록 범위 뜻 (0) | 2023.01.10 |
연말정산 2022년 변경사항 달라지는 점 (0) | 2022.12.14 |
개인사업자 부가가치세 절세방법 알아보기 (0) | 2022.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