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공공임대아파트 민간임대아파트 차이점 비교

by mjnrep 2022. 12. 16.

공공임대아파트-민간임대아파트-차이점
공공임대아파트-민간임대아파트-차이점

 

내 집 마련은 모든 이들의 꿈입니다. 특히 편리하고 쾌적하게 살기 좋은 아파트는 가장 선호하는 주거방식입니다. 아파트를 매매할 수 있는 준비가 되기 전까지 임대아파트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는데요, 임대아파트도 공공임대아파트와 민간임대아파트로 구분되어 있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1. 공공임대아파트

공공임대아파트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서울도시주택공사(SH)와 같은 정부기관에서 공급하는 임대아파트를 말합니다.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거나 주택기금의 자금을 지원받아 국가나 지자체 및 기관에서 아파트를 짓은 후에 국민들에게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무래도 서민층을 위한 주거 지원이다 보다 면적은 85m² 이하의 면적이 보편적이며, 정부 주도하에 아파트 건설 계획이 세워지기 때문에 교통 및 주거 편의성이 높은 편이 특징입니다.

 

임대 기간도 최소 10년 이상의 긴 기간을 두고 있기 때문에 높은 거주 안정성을 보장하고, 임대 기간이 끝난 후에 분양 전환을 통한 소유가 가능한 점은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민간임대아파트

민간임대아파트는 보통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브랜드 아파트(자*, 푸르지*, 롯데캐* 등)의 민간 건설사가 정부의 지원금을 받아 민간아파트를 공공임대로 공급하는 개념입니다.

 

정부 지원금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는 아파트이다 보니 공급 대상은 만 19세 이상 무주택자로 한정하게 됩니다. 청약통장은 필요하지 않으나 1세대당 1건만 신청이 가능한 조건이 있습니다.

 

안타까운 상황이지만 공공임대아파트와는 달리 민간임대아파트는 주소지로만은 임대아파트인지 구분이 어렵고, 민간아파트와 동일한 시설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민간임대아파트를 선호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임대료는 일반 시세의 90% 정도로 저렴한 편은 아니라서 공공임대아파트에 비해 비싼 임대료를 감당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리고 정해진 임대기간(보통 8~10년)이 끝난 후에 분양 전환에 대해서는 보장되지 않아 비싼 임대료를 오랜 기간 동안 부담하는 것에 대한 이점이 없을 수 있습니다.

 


 

내게 맞는 임대아파트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그럼 어디서 어떻게 내게 맞는 임대아파트 찾아야 할지 막연하실 것이라고 생각이 드실 텐데요, 국토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마이홈>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전국에 걸쳐 내가 원하는 조건을 선택하여 조회가 가능합니다. ▼<마이홈> 사이트 바로가기▼

 

마이홈포털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임대주택 및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의 입주자 모집공고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 입주자 모집공고 공급유형 진행상태 지역 공고명 요약정보 모집공고일자 당첨발표일

www.myhome.go.kr

 

 

 

공공임대아파트와 민간임대아파트, 각각 위치, 임대료, 브랜드, 단지 내 시설 등 각각의 장단점이 확실한 만큼 현재 본인의 상황에 맞게 결정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더 나아가 내 집 마련의 꿈을 모두 이루시기를 희망합니다.

 

 

 

반응형

댓글